이번에는 해당 가공정의에 대한 모의가공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마스터캠에서 제공하는 모의가공기능에는 다음과 같은 기능이 있습니다.(약간 버전 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1. 경로확인
일반(?) 경로확인과 사실상 동일한 기능이지만 약간 간략화된(빠른 검증 불가) 경로확인 기능을 합니다.
*특히 한점은 모의가공이지만 실제 가공(소재절삭) 과정은 생략됩니다.
( 보이기 설정의 공작물 항목이 비활성화 됨)
2. 모의가공
실제적으로 모의가공으로써 기능하는 모의가공 입니다.
설정된 소재(공작물) 기준으로 해당 가공정의 절삭과정을 진행하여 소재 절삭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현해 주는 기능입니다.
추가되는 부가 기능으로
1. 절삭가공 과정 중 공구 또는 공구홀더 가 소재와 충돌여부를 검증 가능합니다.
* 조금 더 신경 쓰면 소재 고정구(클램프 나 바이스 등 부속고정구)에 대한 충돌여부도 검증 가능합니다.
2. 실제 소재 가공과정을 유사하게 표현이 가능합니다.
3. 가공완료된 소재와 완료된 제품 모델링과 비교검증(두 요소에 대한 상호비교검증)
4. 가공 공구에 따른 가공면 식별이 가능합니다.
5. 가공완료된 가공면에 대한 측정(거리 좌표값)이 가능합니다.
6. 가공완료된 공작물에 대한 단면 표현이 가능합니다. (단면 검증)
7. 해당 가공완료된 공작물 자체를 STL파일형식으로 저장 가능합니다.
8. 해당 모의가공과정 자체를 일정형식의 동영상으로 출력가능합니다.
* 이러한 기능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겠습니다.
3. 시뮬레이션
해당 가공정의를 미리 설정된 시뮬레이션 머신을 활용하여 실제 장비에서 가공하는듯한 시각적 표현을 지원합니다.
* 특히 5축 가공과정에 거의 필히 요구되는 가공과정 검증에 이용됩니다.
* 기본머신으로 제공되는 것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사용자 시뮬레이션 머신도 생성 가능합니다.
* 사실상 모의가공 이라 하면 2번 모의가공을 지칭하며 1번 경로확인은 주로 원래 가공경로관리자의 경로확인 를 사용하며 3번 시뮬레이션은 여러 가지 설정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어 많이 사용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모의가공에 집중하여 설명하겠습니다.
모의가공 각기능 설명
1. 파일
모의가공 리본바 최좌 측 메뉴로 해당 모의가공의 기본값(설정), 모의가공 표현 인쇄, 모의가공 설정, 모의가공 종료에 대한 기능을 실행합니다.
도움말 : 해당 모의가공 기능에 대한 영문 도움말이 표시됩니다.
기본값 : 모의가공의 각종 설정값에 대한 정의를 설정합니다.
기본값으로 저장 : 현재 모의가공의 설정값을 지정된 파일(기본파일:MastercamSimulatorDefaults.xml)에 저장합니다.
만일 모의가공 설정값을 사용자 지정 설정값으로 적용하려면 모의가공 설정값을 정의 한 후 저장하시면 항상 그 설정값으로 모의가공 설정이 정의됩니다.
* 실제로는 저 기본파일에 저장하시지 말고 기본파일을 백업하신 후 저장하시기 바랍니다.(나중에 문제시 되돌리기 위하여)
기본값에서 읽기 : 현재 모의가공 설정값을 변경하였는데 원래 기본값으로(기본파일:MastercamSimulatorDefaults.xml) 복귀하기 위하여 기본파일에 기본설정값을 읽어드립니다.
* 기본값으로 리셋과 다른 점은 설정값 저장 파일을 선택하여 읽어드립니다.
기본값으로 리셋 : 단순하게 현재 설정값에서 기본 설정값으로 복귀하는 것을 한 번에 실행하는 기능입니다.
인쇄 : 현재 모의가공 과정(모의가공 결과 화면)을 윈도 인쇄 기능으로 출력합니다.
* 자세한 인쇄 옵션은 원도우 기본 설정에 따라갑니다.
옵션 : 모의가공 과정에 대한 설정값(실행 관련)을 정의합니다.
일반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
하단 재생바의 불투명도를 조절합니다.
불투명도 50%
불투명도 100%
표시
경로확인 및 모의가공 재생 시 한구간당 이동하는 가공경로양 를 정의합니다.
* 하단 재생바의 재생버턴 실행 시 한 번에 이동하는 가공경로량을 정의합니다.
* 하단 재생바의 시뮬레이션 속도바(느리게 - 빠르게)의 기능과 동일한 효과를 합니다. (고정적으로)
공차
충돌공차 : 공구 및 홀더 중 충돌 검증 요소가 가공소재에 접근한 거리값(입력값) 내 들어올 경우 충돌여부를 검증합니다.
입력값이 작을수록 충돌여부가 좀 더 정밀(?) 해지지만 그만큼 연산 시간이 소요됩니다.
STL 저장공차 : 모의가공 결과물을 STL 파일로 저장 시 모델링 형태 정밀도를 정의합니다.
*좀 복잡한 곡면(동근 것) 생성 시 기본값( 0.0254 : 1/100인치값) 이하 (0.01 이하)로 저장하셔야 나중에 STL파일을 소재로 사용 시 좀 부드럽게 표현됩니다.
* 당연한 것이지만 이 공차값을 작게 하면 그만큼 파일용량, 연산시간 등이 늘어납니다.
충돌체크
모의가공 실행 중 지정된 요소와의 충돌여부를 기본값적으로 미리 정의 가능합니다.
* 충돌여부는 설정에 따라 가공된 소재형태, 충돌리포트, 정지조건등에서 설정 시 파악 가능 합니다.
공구
해당 요소(체크 활성화 한) 항목(고정구, 머신 , 작업고정물 , 공작물(공구 각 부분별 별도지정가능))의 충돌여부를 검증합니다.
공작물 (가공 소재)
해당요소 (체크 활성화 한) 항목(고정구 , 머신)의 충돌여부를 검증 합니다.
* 공작물은 가공될 소재(공작물 설정)가 고정구(소재 클램프) , 머신 외관과 충돌여부를 검증합니다.
머신 (시뮬레이션등 머신 형태 정의가 된 경우)
해당요소 (체크 활성화 한) 항목(고정구, 머신)의 충돌여부를 검증합니다.
* 머신은 시뮬레이션 상태에서 설정된 머신 하우징 형태와 고정구(소재 클램프) , 머신 외관과 충돌여부를 검증합니다.
* 이러한 것은 4축 또는 5축 등 가공을 위한 머신 하우징 요소 간의 충돌여부를 검증합니다.
기타
해당 모의가공의 표현 상태 설정을 정의 합니다.
시뮬레이션 엔진
3-축 : 모의가공 시뮬레이션 설정를 3축 기준으로 합니다.
* 모의가공 결과물이 조금 거칠지만 대신 모의가공 연산이 빨라 좀 더 빨리 결과가 나옵니다.
5-축 : 모의가공 시뮬레이션 설정을 5축 기준으로 합니다.
* 3축에 비하여 좀 더 모의가공 품질이 좋아서 만일 STL 파일 저장 시 이 옵션을 쓰면 좋습니다.
* 대신 모의가공 연산 시간이 좀 더(약 3배 정도) 느려지며 컴퓨터 사양을 좀 요구합니다.
* 정확한 확대 옵션이 5축 시뮬레이션 엔진으로 처리됩니다.
* 이 옵션은 보통의 경우 빠른 모의가공 검증을 위하여 3축으로 모의가공룰 완료 후 좀 더 검증이 필요한 부분만 정확한 확대 기능으로 해당 부분만 검증하는 방법을 택합니다.
항상 5-축 엔진 사용
이 항목을 체크하면 항상 기본적으로 5축 시뮬레이션 엔진 적용으로 모의가공을 실행합니다.
보간스텝
보간(INTERPOLATION)가공경로 간 간격사이값 보충 추정 적용하는값 적용입니다.
* 지정된 가공경로간 사이 위치값을 추측 보충하는 방법이라고 합니다....ㅠㅠㅠ
적응 품질
모의가공 결과물을 처음부터 고화질(?)로 연산하는 것이 아니고 빠른 검증을 위하여 낮은 품질로 전체 모의가공 결과물을 출력 후 점차 높은 품질로 보충 출력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 빠른 검증처리를 위하여 하는 것으로 모의가공 시 전체 결과물이 나왔는데 잠시 더 연산 과정을 거쳐서 좀 더 나은 결과물을 보여줍니다.
* 화면 우측 하단 모델향상 처리 가 두 번 표시됩니다.
* 만일 체크해제 하면 처음부터 높은 품질로 모의가공결과물을 출력합니다. (모의가공 연산 시간 증대..)
자동시작
모의가공 실행 시 (가공경로 관리자창에서) 바로 모의가공 결과 연산 과정으로 진행합니다.
* 즉 모의가공 화면으로 들어온 후 재생바의 모의가공 재생 지령 없이 바로 모의가공 실행으로 들어갑니다.
그래픽
해당 모의가공에 표시되는 요소에 대한 색상 적용 설정을 합니다.
* 작업공작물은 별도 지정 옵션이 있는 것이 아니고 마스터캠 작업화면에서 모의가공 전환 시 작업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모델링 요소가 작업공작물로 지정됩니다.
(그러므로 불필요한 모델링 요소는 모의가공전 블랭크 나 레벨표시 등으로 표시 삭제 하여야 합니다.)
* 고정구 경우 별도로 고정구 지정(시뮬레이션 옵션)을 하여야 하며 모의가공 시 작업화면에 표시되어 있지 말아야 합니다.
(만일 고정구 지정이 되어도 모의가공 전환 시 작업화면에 표시되면 자동적으로 작업공작물로 지정됩니다.)
* 초기 공작물은 가공경로관리자의 공작물 설정(소재설정)의 정의를 따라갑니다.
* 원래 작업공작물의 의미는 작업 완료 상태의 모델링을 의미합니다.
(즉 가공완료된 소재와 원본 모델링과의 대조를 위하여 지정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만일 원본과 가공소재와의 비교 기능을 사용 할시 필히 작업공작물은 원본 모델링만 지정이 되도록 조치하셔야 합니다.)
* 작업화면에 원본 모델링만 남기거나 나머지 모델링은 고정구 등으로 별도 지정되어야 합니다. (비교기능 사용 시)
이러한 색상은 마스터캠의 색상 사용 기능이 활성화(체크) 되어 있으면 색상 수정이 불가능합니다.
* 마스터캠의 기본적인 색상번호 와 모의가공의 기본적인 색상번호가 틀리게 지정가능합니다.
* 위 항목을 체크 해제하면 사용자가 각 부분의 색상 변경이 가능해집니다.
종료
현재 모의가공 과정을 종료합니다.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 > 가공 경로 확인 , 모의 가공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스터캠 2021 모의가공 및 경로확인 에 관하여-7 (기능&메뉴2) (1) | 2023.09.20 |
---|---|
마스터캠 2021 모의가공 및 경로확인 에 관하여-6 (기능&메뉴) (0) | 2023.09.17 |
마스터캠 2021 모의가공 및 경로확인 에 관하여-4 (경로확인) (0) | 2023.09.09 |
마스터캠 2021 모의가공 및 경로확인 에 관하여-3 (공작물 모델) (1) | 2023.09.06 |
마스터캠 2021 모의가공 및 경로확인 에 관하여-2 (공통파라미터-공작물) (1) | 2023.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