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스터캠 2022을 활용한 각인 공정 매크로(알루미네이션)사용 설명서(개정판)
이번에는 네이버 마캠 뽀개기 카페 회원이신 "알루미네이션"님이 작성하신 각인 매크로(0241126_Making_macro) 사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준비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0241126_Making_macro.mcam : 마스터캠 2022 호환 파일 0241130_Making_macro.psb : 마스터캠 포스트 호출루틴 암호화 파일(내용 볼 수 없습니다. 에디팅 불가) 0241130_Making_macro.pst : 마스터캠 2022 기준 각인 공정용 매크로 생성 전용 포스트 파일(각인 공정 전용입니다.) 우선 해당 각인 매크로 사용 환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작업 환경은 마스터캠 2022 이상입니다. 기본적으로 워크좌표 G54에 해당 제품 가공원점을 사용하고 그 후에 배열되..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마스터캠 2021 활용 소소한 팁
- · 2024. 12. 1.

마스터캠 3D 곡면 고속 스컬롭(Scallop) 가공경로-3
이번에도 고속 곡면 가공 스컬롭 경로의 활용법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우선 아래와 같은 형태의 가공물이 있습니다. 납작한 원형의 완만한 경사의 형태 이므로 스컬롭 경로 적용하기 적합해 보입니다.......? 우선 전체 선택을 하고 외형부를 공구중심영역으로 선택하고 별다른 설정 없이 스컬롭 경로를 생성하였습니다. * 사실 스컬롭 경로가 별다른 파라미터가 없어 간단히 경로 생성이 가능하다는..... 그리고 다른 예로서(나쁜 예?) 등고선으로 경로 생성한 것을 살펴봅니다. 우선 먼저 보면 등고선의 경우 가공물의 경사면의 경사 각도에 따라 절삭 간격이 불규칙적인데 스컬롭의 경우는 어느 정도 일정하게 간격이 유지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물론 등고선 경로 파라미터의 추가조건의 쉘로우 경로 추가로 간..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3D 곡면 , 솔리드 적용 가공 경로 관련
- · 2024. 11. 21.

마스터캠 3D 곡면 고속 스컬롭(SCALLOP) 가공경로-2
이번에는 스컬롭 경로를 활용한 가공경로 생성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 해당 가공경로(스컬롭)사용 하기 좋은(적절한) 가공물 형태는 가능한 평평한 굴곡이 작은 형태의 마지막 정삭 경로로 활용하길 바랍니다. 만일 가공대상 곡면의 형태가 급격히(특히 가공면 측면의 각도가 0°에 준하는 경우)변화 하는 형태는 가능한 등고선, 워터라인을 사용하시고 스컬롭은 가능한 평평한 형태의 가공 곡면에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스컬롭 경로의 특성중 하나가 다른 가공경로는 생성하기 힘든(귀찮은...) 완전 평면 형태의 가공물도 무난히 잘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이때 생성되는 가공경로는 2D 포켓 경로 형태로 생성된다는 것을 기억하셔야 합니다. 면방향처럼 한 방향 경로는 생성될 수 없습니다. 이번에는 아래와 같은..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3D 곡면 , 솔리드 적용 가공 경로 관련
- · 2024. 11. 19.

마스터캠 3D 곡면 고속 스컬롭(SCALLOP) 가공경로-1
이번에는 마스터캠 곡면 고속 가공경로 중 스컬롭(scallop : 주로 가리비로 번역되지만 여기서 뜻은 조개껍질층처럼 여러 개의 겹겹이 쌓인 얇은 두께의 집합체로 보시면 됩니다.) 가공경로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곡면가공 스컬롭 경로는 일반 구형 곡면가공경로의 등고선 경로와 많이 유사하다 볼 수 있습니다. * 다만 고속 곡면 가공경로에 한정해서 보면 등고선은 워터라인과 비교되며 스컬롭 경로는 등고선처럼 일정한 방향으로 일정한 경로 높이를 유지하며 진행되면서 좀 더 자유롭게 Z 축 방향으로 경로생성이 자유롭다(오르락 내리락이 잘된다?)하는 점이 다릅니다. 그렇지만 등고선의 경우 일정한 Z간격으로 생성된 경로 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다만 가공성이 용이한 경로 형태(위에서 아래로 또는 아래에서 위로..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3D 곡면 , 솔리드 적용 가공 경로 관련
- · 2024. 11. 18.

마스터캠2021를 활용한 다이내믹 가공경로 생성 과정에 관하여-13(다이내믹 밀 실무 적용-6)
이번에는 다이내믹 밀 경로 생성을 위하여 체인선택을 와이어프레임으로 하는 것을 알아보겠습니다. 예제로서 아래와 같은 계단형태 포켓이 있습니다. * 계단별 높이간격이 제각기 입니다. 이러한 형태를 다이내믹 밀로 가공경로를 생성하려면 기본적으로 각 계단별 높이에 맞게 가공깊이별로 구분되는 체인영역과 가공정의를 여러 개 생성하여야 합니다. * 위 이미지처럼 각 가공높이(계단별) 가공정의를 생성합니다.* 가공경로를 통일감 있게 보이기 위하여 한점(진입점)을 진입체인으로 하여 선택하였습니다. 우선 먼저 해당 가공깊이별 가공정의를 생성하기 위하여 가공영역 체인을 선택하여야 합니다. 그런데 우선 2D도면요소(와이어프레임)가 작도 특성상 영역별로 구분되어 있지 않아 체인작업이 불가능합니다. 그러므로 현재 도면..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2D 가공 경로 관련
- · 2024. 11. 14.

가공시 각지게 나오는 곡면 또는 2D 도형요소의 문제점 해결방안(거르기 기능 활용...)
이번에는 네이버카페 마캠뽀개기 질문글 중 하나를 중점으로 곡면 작업 시 주의사항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질문의 요지는 곡면가공을 했는데 최종 가공물의 면이 각져 보인다고 합니다. https://cafe.naver.com/mcampokegi/152397 마캠 면방향으로 가공시 가공면이 뚝뚝 끊겨서 나옵니다 아시는분은 답글 달아주세요!!!ㅠㅠ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cafe.naver.com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는 원인은...... 당연히 해당 곡면 자체가 각져서 그렇습니다....... 모델링 형태가 각져있다는 것이지요.. 원인은 주로 2가지인데..... 1. 해당 2D 도면의 선을 선택하여 모델링(곡면) 작성하여 캠작업시 해당 도면의 2D 도형요소(주로 타원형 곡선)가 각져 있어서 그 도..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마스터캠 2021 활용 소소한 팁
- · 2024. 11. 7.

부가축 머신 환경에서 작업평면을 활용한 다축 드릴 가공(네이버 마캠뽀개기 질문 게시글 관련)
이번에는 마캠 뽀개기 네이퍼카페에 올라온 질문 게시물에 대하여 늦은 답변으로 해당 가공물(작업평면 활용 부가축 가공)의 캠작업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사실 이러한 작업평면 활용 다각도 가공 캠작업은 여러 번 설명해서 사실상 중복된 내용입니다........ㅠhttps://cafe.naver.com/mcampokegi/152252 로타리가공에서 센타에서 편심된 가공 어떻게 프로그램짜나요?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cafe.naver.com 먼저 작업 내용은 아래와 같은 링가공물에 링 중심축(회전축)에 어긋나 있는(공구 축이 링 회전체 회전 중심점에 향해있지 않는 경우)의 경우입니다. * 이러한 반복적인 작업(일정한 가공패턴을 일정한 회전각도로 배열되는 경우는 무척(?) 간단합니다.......(작..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마스터캠 2021 활용 소소한 팁
- · 2024. 11. 2.

마스터캠2021를 활용한 다이내믹 가공경로 생성 과정에 관하여-12(다이내믹 밀 실무 적용-5)
이번에도 저번에 이어서 다이내믹 밀 경로 진입 경로(링크 파라미터값)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앞서 가공물의 다이내믹 밀 경로를 그대로 두고 깊이가공 항목을 활성화하여 우선 3단계 가공깊이 경로를 생성하였습니다. 이때 해당 가공정의 링크 파라미터의 값을 위와 같이 설정한 경우 해당 경로 진입높이 값은 위와 같이 진행됩니다. * 링크 파라미터의 이송높이 값이 절대값으로 되어 있는 것을 기억해 주십시오. 이것을 좀 더 자세히 보면 처음 진입높이(이송높이)까지 급속이송으로 내려온 후 진입방법 항목의 Z 높이값까지 해당 공구 Z 축 이송속도(절삭이송)로 내려온 후 Z 높잇값부터 절삭이송 속도(해당 공구 절삭이송 속도)로 헬릭스 진입을 합니다. 그리고 해당 가공깊이(첫 번째) 경로가 완료되면 링크 파라미터..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2D 가공 경로 관련
- · 2024. 10. 25.

마스터캠2021를 활용한 다이내믹 가공경로 생성 과정에 관하여-11(다이내믹 밀 실무 적용-4)
이번에는 저번 내용에 이어서 외측에서 진입하는 다이내믹 밀 경로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 다이내믹 밀 경로는 동일한 경로방식(트로코이 달 방식)을 외측/내측 공구 진입하여 경로 생성하는 방식이 있고 영역밀 경우 같은 구성을 일반 포켓경로방식(일정한 절삭간격 유지)에 트로코이 달 경로를 접목한 경우가 있는데 여기서는 다이내믹(트로코이 달 경로)을 적용한 경로를 설명합니다. 우선 예제로서 아래와 같은 1개 가공깊이를 가진 가공형태의 공작물이 있습니다. 간단하게 가공깊이 Z -20.0 값을 가진 형태 입니다. 우선 간단하게 포켓외곽부 체인을 가공영역으로 선택하고 다이내믹 절삭 파라미터등을 특별한 지정 없이 설정합니다. * 우선 내측 포켓 형태 가공이라 선택한 가공영역 체인을 기준으로 무조건 내측 가..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2D 가공 경로 관련
- · 2024. 10.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