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스터캠 3D 곡면 고속 일정한 스컬롭(Equal Scallop) 가공경로-2
이번에도 저번에 이어서 곡면 고속가공경로 "일정한 스컬롭"의 절삭 파라미터 항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② 열린 윤곽 방향* 이항목은 독단적으로 적용되지 않으며 "닫힌 윤곽 방향"과 같이 적용되며 앞서 가공경로 제어 항목의 방법 닫힌 오프셋/트림된 오프셋의 선택에 영향을 받습니다.* 참고로 닫힌 윤곽 방향은 가공경로 제어 항목의 닫힌 오프셋에 고정된 적용값을 가집니다.* 또한 열린 윤곽 방향이 적용될려면 해당 가공정의의 공구 중심영역 체인이 열린 체인 형태가 되어야 합니다. (이것은 마치 2D 윤곽 가공경로의 닫힌/열린 체인과 동일한 역할을 합니다.) 우선 열린 윤곽 방향이란 해당 가공영역의 공구 중심영역 체인이 열린 체인형태로 설정된 경우 열린 방향(가공영역외측으로 개방된..)에서 공구진입 또는 경..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3D 곡면 , 솔리드 적용 가공 경로 관련
- · 2025. 2. 11.

마스터캠 3D 곡면 고속 일정한 스컬롭(Equal Scallop) 가공경로-1
이번에는 저번 곡면 고속 가공경로 중 스컬롭(SCALLOP)에 이어서 일정한 스컬롭(EQUAL SCALLOP)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먼저 설명했듯이 스컬롭 가공경로는 기본적으로 2D 포켓 경로형태를 기본으로 하는 평면상 가공경로(바운더리 영역에 따른)를 3D 등고선 경로를 기본으로 하는 해당 가공대상 곡면형태에 투영 이동 시키는 것 과 같은 형태의 가공경로를 생성합니다. * 어디까지나 이해를 돕기위한 설명이며 실제 마스터캠 내 경로 연산방법은 해당 마스터캠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① 스컬롭 가공경로 생성을 위하여 해당 솔리드 요소의 피라미드형태의 가공 대상곡면을 선택합니다. ② 그러면 먼저 해당 가공영역(바운더리 영역, 공구 중심영역)에 준하는 평면 형태 가상의 곡면을 생성합니다. (어디까지나 이해..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3D 곡면 , 솔리드 적용 가공 경로 관련
- · 2025. 2. 8.

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외줄 형태 한글 문자 각인 작업에 관련하여(한줄폰트)
이번에는 마스터캠을 활용한 한글 문자 한 줄/외줄 각인 작업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일반 제품 가공을 하다보면 제품의 품명 또는 생산일자, 제품번호 등 일반적으로 알아보기만(이것이 포인트입니다.) 하면 되는 형태의 문자 각인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통의 경우 해당 문장을 와이어프레임탭의 문자 기능을 이용하여 생성된 문자(와이어프레임 형태)을 윤곽 가공경로의 보정 안 함 기능으로 외줄 형태 경로로 주로 볼 엔드밀 형태 공구로 살짝 알아만 볼 수 있게 얇게 가공하는 경우입니다. 그런데 한글을 외줄 형태로 각인작업을 해야하는데 기본적인 상태에서 문자 생성 기능으로 한글을 출력해 보면 외줄폰트가 없는 관계로 한글 문자가 생성되지 않습니다. 약간 논외로 이전(마스터캠 2020버전 이전) 까지는 아래와..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마스터캠 2021 활용 소소한 팁
- · 2024. 12. 22.

마스터캠 3D 곡면 고속 스컬롭(Scallop) 가공경로-5
저번에 이어 이번에도 스컬롭 가공경로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저번에 돌출부에 생성된 스컬롭 가공경로를 다시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해당 스컬롭 가공경로 파라미터 값은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습니다. 그렇게 해서 생성된 스컬롭 가공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런데 경로확인으로 살펴본 경로가 돌출부 외곽바닥(Z-22.225) 쪽으로 바로 진입하여 상부 쪽으로 상승하면서 경로를 이송하다가 돌출부 중간 높이 근처까지 이송되자 다시 수직복귀 하여 가공물 상부(최저높이)에서 다시 가공경로 이송하며 내려와서 돌출부 중간 높이까지 이송하고 가공경로를 마감합니다. 이것은 해당 스컬롭 경로 절삭 파라미터 항목 중 절삭형태에서 "내측에서 외측으로 확장" 항목이 체크되어 있지 않은 상태(비활성화)이면 이러한 이송형태를 ..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3D 곡면 , 솔리드 적용 가공 경로 관련
- · 2024. 12. 15.

마스터캠 3D 곡면 고속 스컬롭(Scallop) 가공경로-4
이번에도 저번에 이어 곡면 고속가공 스컬롭경로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예제로서 아래와 같은 가공물이 있습니다. 스컬롭 가공경로는 정삭 위주의 가공경로 이므로 바로 적용하지 못하고 우선 먼저 다이내믹 최적화 황삭경로(황삭) - 곡면 고속 워터라인 경로(중삭)를 완료한 후 스컬롭 경로를 적용하는 것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황삭 경로로 다이내믹 최적화 황삭 경로 적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다아내믹 최적화 황삭 가공경로를 선택한 후 파라미터 항목에서 "모델도형"에서 가공 도형(가공곡면)을 가공여유값과 함께 선택합니다. * 이러한 가공도형 선택 또는 회피 도형 선택 방식은 해당 가공물 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 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해당 가공도형 곡면을 일일이 선택(회피도형 곡면 포함)하는..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3D 곡면 , 솔리드 적용 가공 경로 관련
- · 2024. 1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