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저번에 이어서 이번에는 원호 거르기/공차 항목의 옵션창 설정의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원호 거르기/공차 항목 파라미터로 들어가면 기본값(좌측화면)은 가공공차 0.025(선/원호 거르기, 부드럽게 처리 기능 비활성화 상태)로 되어 있습니다. 여기에서 원호 거르기 기능(선/원호 거르기)을 활성화 할려고 하면 직선/원호 거르기 설정 체크 박스를 체크하여 활성화하고 기본적으로 원호생성 평면(G17, G18, G19)중 적용할(기본적으로 3축에서는 G17를 사용하므로 "G17"을 체크) 평면을 선택하고 나머지 옵션값은 그때그때 가공환경에 맞게 선택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위 공차값 배분에 각항목별(가공공차값, 선/원호공차값, 부드럽게 처리 공차값) 공차값을 배분하여야 합니다. 예를 들면 작업자가 3축장비 ..
이번에는 윤곽 가공경로 절삭파라미터 중 원호 거르기/공차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통상적으로 이기능을 거르기(Filtering and tolerances)으로 부릅니다. 이 거르기 기능을 사용하여야 할 상황의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 이 거르기 기능은 일반적인 2D도형요소(직선, 다각형, 정원 형태), 수직가공(드릴 가공)등의 가공경로에는 적합하지 않은(적용 시 변동이 없는) 기능입니다.* 거르기 기능는 불규칙한 형태의 도형요소의 대한 가공경로 또는 반복되는 헬리컬 형태 경로 또는 복잡한 형태의 포켓 가공경로, 3D가공경로(거르기 기능이 필수적인..)등에 적용 시 적합한 기능입니다. 먼저 거르기를 적용하여야 할 목적이 있어야 합니다. * 다시 말씀드려서 단순 직선, 정원형태 도형요소에 대한 가공..
이번에는 윤곽가공 링크파라미터 하위 트리의 홈/참조점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링크 파라미터의 홈/참조점 항목은 공통 파라미터(드릴, 윤곽, 포켓, 면, 2D고속 등 링크파라미터 적용 가공경로)로 링크 파라미터 적용 경로에는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 보편적으로 2D 가공경로는 링크파라미터 사용하는 경우 해당 홈/참조점을 적용하며 3D 가공경로는 구형(?) 가공경로는 별도로 홈포지션(참조점 없는)을 사용하고 신형(?) 고속 가공경로는 동일한 링크파라미터의 홈/참조점 항목을 사용합니다. 홈/참조점의 역활은 다음과 같습니다. 홈포지션(Home position) 머시닝 장비 특성상 공구 교환위치(특정되는), 또는 가공시작 시 시작되는 특정위치가 있는 경우 지정하는 위치로 가공시작과 끝의 지점이라고 생각하..
이번에는 링크파라미터의 각항목값 절대/증분/관련값 적용 실무 예를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가공 공작물(소재) 상단을 가공원점 Z0.0으로 설정하고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엔드밀 윤곽 가공만 살펴보겠습니다. 가공 공작물은 간단하게 아래처럼 가공깊이가 동일한(일정한) 형태의 포켓 형상 입니다. 간단하게 포켓부 내곽부 윤곽가공 경로를 생성하는 것으로 하겠습니다. 먼저 해당 가공정의 윤곽 가공경로를 선택하고 해당 가공물의 상단(Z0.0) 포켓부의 윤곽을 와이어프레임 체인이나 솔리드 체인으로 선택합니다. 가공 포켓부 상단(재료상단 위치 Z0.0)을 체인요소로 선택하였으므로 링크 파라미터의 재료상단값은 절댓값 0.0으로 지정하고 가공깊이는 포켓깊이 인 절댓값-12.0으로 정의하였습니다. * 보통의 경우인 가공시작..
절댓값 / 증분값 / 관련값절댓값 각 링크 파라미터의 높이값을 절댓값으로 지정시 해당 가공원점(Z0.0 : 재료상단 높이값이 아닙니다.)을 기준으로 높이값을 고정(입력된 깊이값 그대로 적용)적으로 적용합니다.* 기본적으로 링크 파라미터의 높이값은 절대값 사용을 전제로 사용됩니다. (특히 각 가공정의 체인요소 Z값이 동일한 경우 절대값 사용을 권장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절댓값 적용 시 순차적인 단계(위에서 아래로 와 같은) 높이값이 적용되어야 합니다. (전체 절대값 적용시 +40 > +15 > +5 > 0 > -10 > -20과 같은.....) * 만일 위와 같은 경우 (안전높이 +40.0, 이송높이 +15.0, 진입높이 +5.0, 재료상단 0.0, 가공깊이 -10.0) 여기서 가공깊이 값을 +25..
이번에는 윤곽가공 절삭 파라미터 중 링크파라미터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먼저 링크파라미터의 기능별 설명을 먼저 하겠습니다. ① 급속이송 관련 전체 적용 항목 급송이송 최대 원호 반경 윤곽가공경로 중 급속이송 진입/복귀중 타 가공영역(체인)으로 이송 시 수직진입/복귀 경로에서 수평이송 경로로 전환하는 경로를 기존 직선형(90도) 전환에서 지정된 반경값에 준하는 원호 이송으로 변경합니다.* 사용목적은 뇌피셜이지만 급속으로 이송시 90도로 꺾는 것이 부담되는(이송축 볼스크루 마모 관련) 경우 좀 더 부드러운 경로로 급속이송 하길 원하는 경우 선택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해당 부분(원호경로 라고 되어 있지만) 전부 점데이터(G00 좌표)로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실제 상황에서 기존 방식보다 좀더 느린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