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저번에 이어서 모의가공 관련 리본바 기능을 알아보겠습니다. 3. 뷰 모의가공 실행 화면의 뷰(VIEW) 상태를 정의하는 리본바입니다. 3D뷰 모의가공 실행 화면(공작물 위주)의 표시 방향과 기타 기능을 제공합니다. 원도 확대 : 마우스로 두 점간 대각선 방향 영역 선택하면 그 영역을 최대 배율로 확대 표시 합니다. 자동배율 : 현재 작업화면에 표시 도형요소 전체 기준 화면에 최대배율로 확대 또는 축소 표시 합니다. 입체 : 현재 작업화면 표시 방향(육면체기준)을 아이소매크릭(등축 투영빙향) 방향으로 전환해 표시합니다. 평면 : 현재 작업화면 표시 방향(육면체기준)을 상면(평면)에서 바라본 방향으로 전환해 표시 합니다. 우측면 : 현재 작업화면 표시 방향(육면체기준)을 오른쪽면(우측면)에서 바라본 방향으로..
이번에는 모의가공 리본바 메뉴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2. 홈 모드 경로확인 : 해당 가공정의 경로 확인 모드입니다. 모의가공 : 해당 가공정의 모의가공 실행 모드입니다. 시뮬레이션 : 해당가공정의 시뮬레이션 과정을 모의가공 작업에서 실행합니다. * 시뮬레이션은 먼저 가공경로관리자창의 시뮬레이션 옵션의 시뮬레이션 설정을 따라갑니다. * 위 시뮬레이션 설정이 안 되어 있으면 제대로 된 시뮬레이션 적용이 안됩니다. 재생 NC : 해당 가공경로 진행 속도 적용방법을 정의합니다. NC : 해당 모의가공 실행 간격(스탭)을 NC데이터(G코드 지령간격)로 합니다. 시간 : 해당 모의가공 실행 간격(스탭)을 전체가공시간의 등분으로 합니다. (실제 이송속도 적용 느낌으로) 길이 : 해당 모의가공 경로 길이 간격(스탭..
이번에는 해당 가공정의에 대한 모의가공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마스터캠에서 제공하는 모의가공기능에는 다음과 같은 기능이 있습니다.(약간 버전 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1. 경로확인 일반(?) 경로확인과 사실상 동일한 기능이지만 약간 간략화된(빠른 검증 불가) 경로확인 기능을 합니다. *특히 한점은 모의가공이지만 실제 가공(소재절삭) 과정은 생략됩니다. ( 보이기 설정의 공작물 항목이 비활성화 됨) 2. 모의가공 실제적으로 모의가공으로써 기능하는 모의가공 입니다. 설정된 소재(공작물) 기준으로 해당 가공정의 절삭과정을 진행하여 소재 절삭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현해 주는 기능입니다. 추가되는 부가 기능으로 1. 절삭가공 과정 중 공구 또는 공구홀더 가 소재와 충돌여부를 검증 가능합니다. * 조금 더 신경 쓰..
이번에는 경로확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경로확인(Backplot)은 마스터캠 작업화면에서 현재 생성된 가공경로(가공정의)의 이송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해 볼 수 있는 기능입니다. * 모의가공 과의 차이점은 말 그대로 경로"만"확인하는 과정이라 소재 가공여부 자체는 확인이 되질 않습니다. * 다만 모의가공과 달리 각 가공경로의 상태, 좌표값, 가공 도형요소 와의 대비 대조 작업이 간편하게 가능합니다. 먼저 경로확인을 적용하는 방법를 알아본다면. 먼저 해당 가공경로(가공정의)가 생성되어 있어야 하며 해당 공구가 설정되어 있어야 합니다. 선택된 가공경로의 경로확인를 하려면 가공경로 관리자기능 아이콘 중 경로확인 아이콘을 클릭하셔야 합니다. 해당 경로확인 아이콘를 클릭하시면 경로확인 기능창과 경로확인 플레이바..
그럼 이번에는 가공정의 중 하나인 공작물 모델을 알아보겠습니다. *잠깐 공작물 모델 특성를 이해하기 위하여 먼저 알아봐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공작물 설정(소재설정) 머신정의 속성에 있는 공작물 설정(소재설정)은 해당 머신정의에 속한 모든 가공그룹(가공정의)에 적용됩니다. *단 해당 되는 머신정의 안에 속해있는 가공정의만 적용받으며 다른 별도의 머신정의는 그해당 공작물 설정에 따릅니다. 가공정의 공작물 모델 가공정의중 하나로 취급되며 해당되는 가공그룹 내에서 정의된 공작물 모델 다음 가공정의에 적용되며 이후 다른 공작물 모델 설정인 나오기 전까지 지속 적용됩니다. * 다만 가공그룹이 틀리는 경우 (해당 공작물 모델이 선택되지 않은 상태에서) 적용이 되지 않으며 (이경우 보통 머신정의 공작물 설정에 따릅니..
저번에 이어 공작물(고속가공경로-공통파라미터)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 이 공작물 항목은 고속곡면 가공경로 - 공통 파라미터에만 적용되는 사항 입니다. 공작물 항목의 정의 을 설명하면 공작물은 전공정에서 가공된(실제는 가공하고 남은 소재의 영역) 소재의 나머지 미절삭 부분을 다시 다음 가공작업의 가공소재로 정의로 적용 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파라미터입니다. * 사실 전공정(황삭)에서 미절삭된 부분에 대하여 다음 중삭 또는 정삭시 일부분 가공형태에 따른 과다한 미절삭 부분에 대하여 다음 가공공정 적용 시 과부하 가 걸리는 문제을 해소 하기 위한 기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즉 1차 황삭(빠른 불필요한 소재 제거) - 2차 황삭(중삭 적용하기 용이한 형태의 미절삭 부분 제거) - 중삭(정삭 적용하기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